목록Infra (8)
middlemoon

이번 시간은 Mysql 데이터베이스를 Docker 환경 내에 만들어 AWS서버내에 Mysql을 연동시키는 작업까지 해보려고 한다. 1)docker pull mysql - docker 안에 있는 Mysql을 사용할 수 있는 확장자 개념의 파일을 가져오는 명령어이다. 도커의 장점은 본인이 원하는 파일들을 가볍게 pull 하는 방식으로 가져올수 있으며, 자유롭게 또한 사용가능하다. docker pull mysql pull을 하게되면 보다시피 images안에 담겨져 있는것을 볼수 있다. 이 과정은 쉽게 말해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들을 docker의 저장소에 담아놓은 상태이다 실행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화된 부분을 아래와 같이 실행해주면 된다. 필자 또한 만드는 과정중에 알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여 다시 ..

이번 시간은, 저번시간에 이어서 새로만든 AWS 서버안에 Docker를 명령어로 이용해 설치할 예정이다. 지금은 ubuntu라는 버전에서 Docker를 설치하는 과정을 담았으니, 혹시나 도커에 대해 더욱 공부를 하고 싶다면 이 부분에서 들어가 참고하길 바란다.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debian/ Install Docker Engine on Debian docs.docker.com 본론으로 들어가보면, ubuntu@ip-172-31-15-6에 해당하는 코드를 입력해야 docker login이 가능하다. 위를 참고한 홈페이지에 자세한 설명이 되어있으니 참고해도 좋을것같다. 과정도 같이 보여주면 좋을것 같아 있는 그대로 코드를 올려보았다 !! 그러고 난 후 do..

지금 진행하려는 방향은 아래와 같다. 1)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2) SSH를 실행시켜 인스턴스 계정과 연동 3) Docker 초기 환경 셋팅 SSH 실행에 필요한 에플리케이션 맥용 https://iterm2.com/ iTerm2 - macOS Terminal Replacement iTerm2 by George Nachman. Website by Matthew Freeman, George Nachman, and James A. Rosen. Website updated and optimized by HexBrain iterm2.com 윈도우 https://putty.softonic.kr/ PuTTY Mac 컴퓨터 용 최고급 에뮬레이터 도구 putty.softonic.kr 필자는 맥 환경에 최적화..

배포용으로 저장될 파일경로를 /upload/로 통일해준다. 각각 사용하는 프로젝트 path경로에 경로를 변경해주는 작업을 거친다. Jenkins 환경에 들어가기전 최종적으로 깃허브에 Push작업을 거쳐야하는것을 잊지말아야한다. 모든 경로의 설정을 맞췄다면 배포용 서버인 Jenkins를 들어가도록 하겠다. 필자의 경우 http://49.50.167.**:18080/ ==> 49.50.*****은 할당받은 IP이다. GitHub project -> url (해당하는 나의url직접입력) Maven V- M2_HOME Goals clean package POM pom.xml WAR/EAR files -> **/*.war Path -> / Tomcat은 개인적으로 설정해준다. 해당 본인이 해당하는 계정에 접속해서..
youngban@Youngui-MacBookAir board % git branch june * master youngban@Youngui-MacBookAir board % git stauts git: 'stauts' is not a git command. See 'git --help'. The most similar command is status youngban@Youngui-MacBookAir board % git branch -r origin/june origin/master youngban@Youngui-MacBookAir board % git branch board youngban@Youngui-MacBookAir board % git branch board june * master young..

프로그램을 얻기 위해 app store 에 들어간다 동일하게 도커에서는 docker hub라는 공간에 들어가는데 앱 스토어에서 다운받은 것을 program 도커에서 다운받은 것은 image program을 다운받고 실행하는 것은 process image에서 다운을 받고 process 처럼 실행하는 것을 container라고 한다 지금 우리의 과정은 docker hub라는 곳에서 image를 다운을 받아보려 한다 그 과정을 pull이라고 하며 image에서 실행되도록 하려는 과정은 run이라고 한다 즉 위의 과정을 정리하면 app store docker hub program image process container 정도로 정리하면 되겠다. 1. https://docs.docker.com/ 접속 후 2.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