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lgorithm/Codeup 100 (11)
middlemoon

ord 는 문자형에서 정수형으로 바꿔주는 코드 입력문에 ord입력 chr 은 정수형에서 문자형으로 바꿔주는 코드 출력문에 chr입력 split()은 이 경우 코드 입력공간에 공백으로 입력을 나누어 받는다는 의미가 된다 w*int(n) 입력받은 변수 w는 문자열이기 때문에 그대로둔다. 입력을 반복할 값은 Int(n)을 통해 정수형 처리하며 w*int(n)을 통해 곱셈을 구현할 수 있다 문자열 = love이런거 예를들자면 split()을 사용한 부분 이것을 문자열 { : .2f}".format(실수 입력) %d, %i : integer (정수) %f, %F : long (실수) %e, %E : 10진수 자릿수 d e cimal ( cf> %e 와 차이, %E 는 E+02 (E를 대문자) 로 표시 ) %s :..

영일이는 생명과학에 관심이 생겨 왕개미를 연구하고 있었다. 왕개미를 유심히 살펴보던 중 특별히 성실해 보이는 개미가 있었는데, 그 개미는 개미굴에서 나와 먹이까지 가장 빠른 길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개미는 오른쪽으로 움직이다가 벽을 만나면 아래쪽으로 움직여 가장 빠른 길로 움직였다. (오른쪽에 길이 나타나면 다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이에 호기심이 생긴 영일이는 그 개미를 미로 상자에 넣고 살펴보기 시작하였다. 미로 상자에 넣은 개미는 먹이를 찾았거나,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오른쪽 또는 아래쪽으로만 움직였다. 미로 상자의 구조가 0(갈 수 있는 곳), 1(벽 또는 장애물)로 주어지고, 먹이가 2로 주어질 때, 성실한 개미의 이동 경로를 예상해보자. 단, 맨 아래의 가장 오른쪽에 도착한 경우,..

1, 2, 3 ... 을 순서대로 계속 더해 합을 만드는데, 그 합이 입력한 정수보다 작을 동안만 계속 더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즉, 1부터 n까지 정수를 하나씩 더해 합을 만드는데, 어디까지 더해야 입력한 수보다 같거나 커지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 때 까지의 합을 출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57을 입력하면 1+2+3+...+8+9+10=55에서 그 다음 수인 11을 더해 66이 될 때, 그 값 66이 출력되어야 한다. 예시 ... while True : s += c c += 1 if s>=n : break print(s) 참고 조건문이나 반복문의 코드블록 안에서 break 가 실행되면, 반복실행을 중단(break)하고, 가장 가까운 반복 블록의 밖으로 빠져나간다. 입..

본 문제는 python 의 빠른 기초 학습을 위해 설계된 문제로서 python 코드 제출을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빛을 섞어 여러 가지 다른 색 빛을 만들어 내려고 한다. 빨강(r), 초록(g), 파랑(b) 각 빛의 가짓수가 주어질 때, 주어진 rgb 빛들을 섞어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조합(r g b)과 만들 수 있는 색의 가짓 수를 계산해보자. **모니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에서 각 픽셀의 색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r, g, b 색을 조합할 수 있다. **픽셀(pixel)은 그림(picture)을 구성하는 셀(cell)에서 이름이 만들어졌다. 입력 빨녹파(r, g, b) 각 빛의 가짓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예를 들어,..

해결과정 푼 사람들의 해결과정을 참고하였더니 변수를 입력과 추가변수 하나로만 선언해서 하는 분들도 보았다. 반복문의 함수를 이용해 푸는 공석인데, sum이 하나씩 증가하면서 a(내가 입력할 수)를 놓고 입력하였을 때 sum과 count의 수가 입력한것보다 >=(같거나 클때) break문으로 빠져나와 출력해주는 과정이라 설명이 되겠다.

정수 3개를 입력받아 합과 평균을 출력해보자. 참고 공백으로 구분된 한 줄로 값들을 입력받기 위해서는 a, b, c = input().split() 과 같은 방법이 가능하고, 공백으로 구분해 두 값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print(d, e) 와 같은 방법이 가능하다. 잘라낸 값들은 그 값의 특성(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에 따라 명확하게 변환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python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 때 좋은 습관(단계) 1. 입력된 문자열을 정확하게 잘라낸다.(공백, 줄바꿈, 구분문자 등에 따라 정확하게 잘라낸다.) 2. 잘라낸 데이터들을 데이터형에 맞게 변환해 변수에 저장한다.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등에 따라 정확하게 변환한다.) 3. 값을 저장했다가 다시 사용하기 위해,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