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 (5)
middlemoon

오늘은 OSI Layer 3계층 중 Network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려한다.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가 목적지 까지 보내지는 과정 중 한가지인데, 라우터와 IP 개념이 존재한다. 해당 부분은 3계층의 대표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다. 전송 단위 - 패킷(Packet)프로토콜 - IP, ICMP 등장비 - 라우터, L3 스위치 등이 있다.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선택해야하는데 이 과정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과정 중에 장비명은 라우터(Router)이다. 라우터는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인데, 패킷은 데이터를 어디로 보낼지와 같은 제어정보를 헤더에 담아 전송하는 역할이라고 보면된다. 라우터(Router)는 크게 두가지 일을..

Network 란 ? -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이 리소스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체계 그렇다면 네트워크는 다양한 목적성을 띄게 되는데 어떤것이 있을까? 첫번 째,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두번 째,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제공세번 째, 네트워크 간의 최적의 통신 경로 결정네번 째, 목적지로 데이터 전송다섯번 째,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서 여러 노드를 거쳐 이동하는 역할도 네트워크가 진행하게 된다. 그렇다면 Network의 존재이유는 통신하기 위해서 존재하는것이 분명해졌는데둘 사이의 간의 사이에서 약속된 통신 방법이 있어야하는 것은 명확해졌다.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 이란..

1계층 Physical layer) 두 대의 컴퓨터가 통신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컴퓨터는 0과 1로 이루어져있다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5v에서 -5v가 만나는 지점이 있다. x축은 시간이며 y축은 전압이라고 했을 시 시간당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라 가정하고 1초당 주파수는 총 4번진행이 되지만, 흐름에 따라 주파수가 모두 통과되지는 못한다. 주파수가 1초당 4번이 진행이 안되는 경우, 다른 주파수는 경우에따라 모두 통과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컴퓨터는 위의 사진처럼 0에서 무한대[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게 되는데, 수직선과 수평선이 명확하게 존재하는 위의 사진은 전기신호를 통과시킬 전선은 없다. 첫번째 사진처럼 플로우에 맞게 나오는 통신을 하여야한다. 즉 두대의 컴퓨터가 통신하려..

오늘 이 시간은 네트워크 개념을 적용시켜보려한다. 지난시간동안 꽤나 네트워크 공부를 하지못한 부분도 있었고 각종 이슈들을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기록으로 남겨보려한다. 우선 CentOS7(Community Enterprise Operating System)는 우분투와 같은 운영체제의 한 개념이다. Virutal Machine이라는 서버를 생성하여 그 안에서 운영체제가 돌아가는 형태이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윈도우 기반의 운영체제라고 말들을 하게되는데 그것은 종류가 있으며 윈도우, 리눅스, OS기반의 운영체제가 존재한다.라고 말을 하게된다. 그중에서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다른서버의 작업을 편리하게 옮길수 있는 작업을 하면 이해가 쉽다.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CentOS기반 SSH 설정 및..

Postman을 새롭게 써보려고 한다. Postman을 사용하기 전에 E2E Test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는데 풀 네임으로 End To End Test 라고도 명칭한다. E2E가 정의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Endpoint(종단) 간 테스트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테스트 하는 것 일반적으로 웹이나 어플 등에서 GUI를 통해 시나리오, 기능 테스트 등을 수행한다.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점검한다. 유닛 테스트로 불가능한 사용자 관점의 테스트까지 가능하다. Endpoint 테스트를 통과하면 기능이 잘 작동한다는 것이므로 모든 테스트를 할 수 없다면 E2E Test만이라도 하는 것이 좋다! 백엔드 관점에서 개발한 REST API를 테스트 하기 위해 실제로 서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