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moon

코드업 개인공부 본문

Algorithm/Codeup 100

코드업 개인공부

중대경 2022. 2. 26. 10:39

ord 는 문자형에서 정수형으로 바꿔주는 코드 입력문에 ord입력

chr 은 정수형에서 문자형으로 바꿔주는 코드 출력문에 chr입력

split()은 이 경우 코드 입력공간에 공백으로 입력을 나누어 받는다는 의미가 된다

 

w*int(n) 입력받은 변수 w는 문자열이기 때문에 그대로둔다.

입력을 반복할 값은 Int(n)을 통해 정수형 처리하며 w*int(n)을 통해 곱셈을 구현할 수 있다

문자열  = love이런거

예를들자면 split()을 사용한 부분

 

이것을 문자열 { : .2f}".format(실수 입력)

 

%d, %i : integer (정수)

%f, %F : long (실수)

%e, %E : 10진수 자릿수 d cimal ( cf> %e 와 차이, %E 는 E+02 (E를 대문자) 로 표시 )

%s : string (문자열로 숫자를 포함)

%c : character (문자 하나)

 

print(s, "%.2f" %(s/3)) 

코드설명 = s의 값을 3으로 /(나누기)후 2f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비교/관계연산자는 <, >, <=, >=, ==(같다), !=(다르다) 6개가 있다.

 

 

 <= 는

오른쪽의 계산 결과값이 왼쪽의 계산 결과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True(참)로 계산하고,

외의 경우에는 False(거짓) 계산한다.

 

bool함수가 나오면 0은 flase 0이상은 true

bool not a 가 나오면 0은 true 1이상은 false

 

우선 순위 1 () 함수호출

2 순위 + 양의부호

6 순위 <=, >= 관계연산자 등등 

 

참고 . a > b 를 수학처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 는 무조건 최소값을 구하는, >는 최대값을 구하는.

 

 

while True:

    a = int(input())

    

    if ( a == 0) :

        break

    

    print(a)

'Algorithm > Codeup 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업 6098 문제  (0) 2022.02.17
코드업 6086 문제  (0) 2022.02.07
코드업 6083 문제  (0) 2022.02.07
코드업 6079 문제  (0) 2022.02.06
코드업 6045 문제  (0) 2022.01.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