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2교시
2교시 (56:52)분 부터 (튜플,
*튜플 ( 1. 2 , 3) 대괄호 - 길이, 값이 고정되어 있는 것
리스트 [ 1, 2 ,3] 소괄호
튜플자료형
t1 = (1 , 2, ‘a’, ‘b’)
del 은 불가.
리스트는 모두 가능
논리대로 따지면 t1 = 1 (1,2,’a’,’b’)
t2 = ( 3, 4)
print(t1+t2) 는 print(1 , 2 ‘a’ , ‘b’ , 3, 4) - 문자형 새로운 튜플은 변하지않는다
*딕셔너리 - 단어를 키로하는 자료구조 (중요한 자료형)
리스트로 나오게된다면 누가 누군지 찾기어려운데 딕셔너리는 쉽다
API에 주로활용되며 JSON의 객체이다
딕셔너리 자료형 - 연관 배열 또는 해시(Hash)
>>>dic = {‘ name ‘ : Eric’, ‘age’ : 15}
print(dic[‘name’] 이름에 대한 정보값이 나온다
ex a = {1: ‘a’} a[‘name’]=“익명” print(a)를 하면
{1: ‘a’, ‘name’ : ‘익명’} 문자형자체로 나오게된다
Del ) a = {1: ‘a’} a[‘name’] = “익명” del a[1] print(a)
결과는 a[‘name’] = “익명” 이라고 뜬다 !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로 이루어져있다.
ex) a = {1: ‘파랑구름’, 2: ‘이현준’, 3: ‘민Min준’} #1은 Key 파랑구름은 value
print(a.keys())
Itmes는 key와 values모두를 나타낸다
*집합
집합의 핵심 : 중복된 요소를 가질 수 없다
집합 자료형
set은 집합이다
s1 = set([1,2,3])
print(s1) *1,2,3, 이라는 값을 가진 set : 집합이 되는 것입니다.
l =.[1 , 2, 2, 3, 3]
newList = list(set(1))
print(newList) 결과는 [1,2,3]
교집합
s1 = set([1, 2, 3, 4 ,5, 6])
s2 = set([4, 5, 6, 7, 8, 9])
print(s1 & s2) = 4 , 5 , 6
s1 = set([1, 2, 3, 4, 5, 6])
s1.add(7)
print(s1) =(1, 2, 3, 4, 5, 6 ,7)
a = “True”
if a:
print(a)
결과 True
*변수
다음 예와 같은 a, b, c를 변수라고 한다.
a = 1 b = “python” c = [1,2,3]
a = int형, b = 문자열, c = 리스트
객체는 자료형이라 생각하면 된다
a = [1,2,3]
b = a[ : ] 슬라이싱 이뜻은 1,2,3 뒤 새로운값을 얻는것이다
a, b = (‘python’, ‘life’)
print(a)print(b) python과 life동시 출력
a = 3 , b = 5 a,b = b,a print(a) print(b) 결과값은 5,3